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 발은 땅에, 시선은 하늘과 별에: 현실주의자의 위대한 역설

by 쓸모 & 쓰임새 2025. 8. 13.
반응형
SMALL

 

Be the realist, but dream unrealistic dream in your heart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 (현실주의자)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엔 비현실적인 꿈을 꾸자" 

 

이 말은 체 게바라가 한 말이라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 말은 그가 한 말이 아니다. 그러나 이 말은 그의 정신과 추구하는 가치를 다른 어떤 말보다 잘 표현하고 있다. 

 

이 말은 언뜻 모순처럼 들린다. 현실주의는 냉철한 이성과 현재의 조건을 기반으로 하며, 비현실적 꿈은 상상력과 가능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류의 위대한 진보는 바로 이 모순적인 두 태도의 결합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단순한 격언을 넘어, 정체된 현실을 돌파하고 의미 있는 성취를 이루기 위한 핵심적인 삶의 동력이다.

 

목차

 

realist dreams unrealistic dream

 

반응형

 

 

현실주의자의 발, 몽상가의 심장

 

우리는 '현실주의'를 종종 냉소나 체념과 혼동한다. 그러나 진정한 현실주의는 현재 상황, 가용 자원, 그리고 명백한 한계를 감정의 개입 없이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이다. 이는 실패 가능성을 줄이고, 문제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분석적 태도이다. 반면 '비현실적인 꿈'은 단순한 망상이 아니다. 그것은 현재의 제약 조건 너머에 존재하는, 더 나은 상태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비전이다. 이 꿈은 우리에게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어려움을 극복할 의지를 부여하는 궁극적인 목표이다.

 

상호보완의 연금술: 꿈을 벼리다

 

이 두 요소는 서로를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로를 완성시킨다. 비현실적인 꿈은 현실주의라는 단단한 땅이 없다면 공중에서 흩어지는 연기에 불과하다. 꿈을 현실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지극히 현실적인 계획과 실행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화성 식민지 건설이라는 일론 머스크의 꿈은 그 자체로 지극히 비현실적이다. 그러나 그는 재사용 가능한 로켓 기술을 개발하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며, 단계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극도의 현실주의적 전략을 통해 그 꿈에 다가가고 있다. 현실에 대한 냉철한 인식이 있었기에 비현실적 꿈이 구체적인 '프로젝트'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현실주의는 꿈을 향한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경로를 설계하는 나침반과 지도이다.

 

 

역사가 증명하는 길: 위대한 도약의 조건

 

역사 속 위대한 인물들은 모두 이러한 태도를 견지했다. 라이트 형제에게 인간이 하늘을 난다는 것은 당대 최고의 비현실적인 꿈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몽상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새의 비행 원리를 수년간 연구하고, 수백 번의 실패를 거듭하며 글라이더를 개선하는 철저한 현실주의자이자 엔지니어였다. 그들의 성공은 비현실적 꿈과 현실적 실험 정신의 완벽한 결합이 낳은 결과물이다. 이처럼 현실에 단단히 발을 딛고 있어야만 비로소 하늘을 향해 도약할 수 있는 힘을 얻는다.

 

 

우리 조상이 확률 99%이상일 때만 일을 저질렀다면,
너와 나는 오늘도 팬티 하나 입고 정글에서 나무를 타고 있을 것이다.

<사람의 생각 방법> 정철, 블랙피쉬, 73쪽

 

두 발은 땅에, 시선은 별을 향하여

 

결국 '현실주의자가 되되, 비현실적인 꿈을 꾸라'는 말은 삶의 균형에 대한 통찰이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삶은 공허하거나 무모하다. 현실만 바라보면 가능성의 문을 스스로 닫아버리고, 꿈만 좇으면 발밑의 함정을 보지 못해 쓰러진다. 우리의 두 발은 현재라는 땅을 굳건히 딛고 있어야 한다. 동시에 우리의 시선은 불가능해 보이는 저 너머의 별을 향해야 한다. 이 긴장감 넘치는 공존이야말로 개인의 성장을 이끌고, 나아가 세상을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만드는 가장 위대한 동력이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