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박스쿨' 논란, 이념의 탈을 쓴 '의도된 교육'

by 쓸모 & 쓰임새 2025. 7. 18.
반응형
SMALL

누구나 역사를 바라보는 역사관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누구나 공 (功)과 과 (過)에 대한 인식 및 경중을 달리 한다. 그러나 자신의 사상 세계의 구축과 타인을 대상으로 하는 세뇌 (洗腦)와는 결을 달리 한다. 게다가 정치적 목적을 지닌 조작의 경우에는 법적 처벌과는 별개로 민족과 시민의 결집력을 파괴한다. 리박스쿨이 해왔던 일들이 그러하다. 학문적 논의를 떠나, 역사 조작 및 왜곡과 그 대상으로 어린이와 노인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은 주작에 가까운 것이다. 본 컬럼에서는 리박스쿨의 탄생 및 활동 그리고 극우를 대하는 올바른 자세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선동과 여론 조작을 위한 리박스쿨

 

 

리박스쿨의 탄생: '역사 교육'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

 

‘리박스쿨(Rebac School)’은 ‘Right Balance School’의 약자라는 설명 아래, 한때 인터넷 상에서 확산된 교육 캠페인이었다. 겉으로는 "좌편향된 교육에 대한 균형"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실체는 특정 정치적 이념—특히 극우 성향과 뉴라이트 계열의 역사관—을 중심으로 청년 세대에게 사상적 영향을 주려는 시도였다.

이들은 ‘자유민주주의’, ‘반공’, ‘시장경제’ 등을 외치며 한국 현대사를 새롭게 해석하겠다고 나섰다. 문제는 이러한 재해석이 학문적 다양성보다는 정치적 목적에 봉사하고 있었다는 데 있다. 탄생 배경에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과 뉴라이트 역사 해석의 맥락이 짙게 드리워져 있다.

 

반응형

리박스쿨은 어떤 일을 했는가? 여론 조작에서 콘텐츠 확산까지

리박스쿨은 단순한 교육 콘텐츠 생산 조직이 아니었다. 유튜브 영상, SNS 카드뉴스, 강연회, 인터넷 커뮤니티 댓글 조작 등 여러 루트를 통해 적극적으로 여론을 주도하고자 했다. 특히 보수 진영의 논리를 강화하거나 진보 진영의 주요 담론에 대한 '조롱', '왜곡', '반격'을 일삼은 흔적들이 다수 포착됐다.

 

일부 조사에 따르면, 조직적 계정 다중 운영(Multi-account operation)이나 댓글 알고리즘 조작을 통해 특정 유튜브 영상이나 뉴스 기사에 우호적인 반응을 유도한 사례도 있었다. 이는 단순한 표현의 자유를 넘어, 대중 여론을 인위적으로 설계하려는 시도였다.

리박스쿨리박스쿨

 

사상의 자유인가, 의도된 세뇌인가?

 

리박스쿨은 이를 '개인의 자유로운 교육활동'이라 주장하지만, 문제는 콘텐츠 대부분이 검증되지 않은 왜곡된 역사 해석, 반공 이데올로기, 그리고 극단적 경제자유주의 이론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유일한 정통성’, ‘5·18은 북한의 개입 가능성 있음’과 같은 주장은 학문적 합의가 아니라 이념적 전략에 가깝다.

 

특히 청소년이나 20대 초반의 대학생을 주요 타깃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이것은 ‘자유로운 토론’이 아니라 ‘의도된 세뇌’였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단순히 우익적 견해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진실을 왜곡하고 사상적 획일화를 유도했다면 그것은 표현의 자유 범위를 넘어선다.

 

누가 자금을 댔는가? 정체가 모호한 후원과 연결 고리

리박스쿨의 활동 자금과 운영은 공개된 시민 후원보다는 특정 정치 성향의 재단, 기업 후원, 그리고 보수 유튜브 채널과의 제휴를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부 보수정당 정치인들과의 연계성, 그리고 극우 단체들과의 교류도 의심받고 있다.

 

이들의 강의 장소, 영상 제작비, 광고비 등은 개인 수준에서 감당할 수 없는 규모였으며, 이는 보다 조직적인 후원 네트워크가 존재했음을 암시한다. 일각에서는 ‘자유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재단’ 등의 명목으로 설립된 보수 성향 재단에서 자금이 흘러들어간 정황도 제기된다.

 

리박스쿨과 뉴라이트의 이론은 얼마나 설득력 있는가?

 

리박스쿨과 뉴라이트 세력이 주장하는 핵심 이론은 다음과 같다:
① 이승만 중심의 건국 정통론
박정희의 경제 개발에 대한 무조건적 찬양
③ 좌파 세력에 대한 극단적 반감
반공주의의 현대적 재해석

 

그러나 이러한 담론은 과학적 역사학보다는 ‘정치적 주장의 교과서화’에 가깝다. 뉴라이트 계열의 학자들은 주류 역사학계와 충돌을 빚으며 ‘대안 역사’라는 이름을 붙였지만, 실은 사실 관계보다 정치적 효과를 우선시했다. 역사란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학문이지만, 왜곡과 허위는 그 자유의 경계를 넘는다.

 

우리나라의 건국절은 1945년 8월 15일도 아니고, 게다가 1948년 정부 수립도 아니다. 헌법에 규정된 우리의 진정한 건국절은 1919년 3월 1일이다. 단순한 3.1절이 아니라, 독립을 선언한 독립된 나라의 건국을 전세계에 천명한 날이다. 뉴라이트의 건국절 논란은 이승만을 위한 것뿐이다.  

 

극우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경계와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극우적 시도는 단순히 불편한 견해의 표현이 아니다. 그것은 혐오와 왜곡, 반지성주의로 이어질 수 있는 사회적 위험 신호다. 이를 막기 위해 중요한 것은 ‘검열’이 아니라 ‘비판적 교육’이다. 리박스쿨 같은 시도가 설 자리를 잃게 하기 위해선, 역사적 진실에 근거한 공교육 강화와, 다양한 목소리가 토론되는 건강한 민주주의 공간이 필수적이다.

 

무엇보다도 시민 개개인이 이념적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역량—즉, 미디어 리터러시와 역사적 감수성—을 키우는 것이 가장 본질적인 대응이다. 진정한 민주주의는 상대를 침묵시키는 것이 아니라, 진실을 통해 그 왜곡을 무력화하는 것이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