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재명 정부 초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by 쓸모 & 쓰임새 2025. 6. 29.
반응형
SMALL

이재명 정부의 새로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은 다소 의외의 인사라는 반응이 많습니다. 그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일한 경험이 없으며, 기획재정부, 한국은행의 공직을 마치고 사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전직 기획재정부 관료라는 점이다.  김정관 후보에 대해 알아보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

 

김정관 후보자 프로필 및 학력

 

김정관 후보자는 1968년 전남 장성군에서 태어났습니다. 학력으로는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거쳐, 미국 미주리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러한 학문적 배경은 그의 경제 관료 및 기업 경영자로서의 역량을 뒷받침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주요 약력 및 경력

김정관 후보자는 행정고시 36회로 공직에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그는 기획재정부에서 종합정책과장을 역임하며 정부의 주요 경제 정책 수립에 참여했습니다. 또한, 한국은행 정책기획관을 지내며 금융 및 통화 정책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쌓았습니다. 특히 한국은행 근무 당시 특별공로상을 수상할 정도로 열정적이고 능동적인 관료로 인정받았습니다.

 

세계은행(WB) 근무, 기획재정부 국채과장, 경제정책의 산실인 기재부 경제정책국에서 경제분석과장, 종합정책과장을 맡는 등 경제관료로서 핵심 엘리트 코스를 밟아왔다. 탁월한 분석력과 추진력을 겸비했다는 게 주위의 평가입니다.

 

공직 생활을 마무리한 뒤 2018년에는 두산그룹에 합류하여 두산 경영연구원 원장 겸 대표이사를 역임했습니다. 이 시기에 그는 두산그룹의 미래를 위한 신사업 전략을 수립하는 데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며 기업의 성장 동력을 모색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2022년에는 두산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두산에너빌리티 마케팅 총괄 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당시 업계에서는 핵심 계열사의 마케팅 수장에 외부 출신 전문가를 영입한 것을 이례적으로 평가하며, 그의 실무 역량과 새로운 시각에 대한 기대를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지명 사유 및 배경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의 브리핑에 따르면, 김정관 후보자의 지명은 그의 경제 관료로서의 뛰어난 역량실물 경제에 대한 깊은 이해에 기반합니다. 강 비서실장은 김 후보자가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관을 거쳤으며 한국은행 근무 당시 특별공로상을 받는 등 열정 있는 관료로 인정받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재가 '성장에 집중할 때'라는 국정 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철학을 구현할 핵심 인재로 김정관 후보자를 낙점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공약인 재생에너지 분야 확대소형모듈원전(SMR) 등 미래 신사업 추진에 있어 김 후보자의 행정 및 현업 경험이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반영합니다.

즉, 김정관 후보자는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 미래 먹거리 발굴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를 동시에 수행할 적임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김정관 후보자의 가치관 

제공된 정보만으로는 김정관 후보자의 구체적인 가치관을 명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그의 이력과 지명 배경을 통해 몇 가지를 추론해볼 수 있습니다.

  • 실용주의적 접근: 기획재정부에서의 정책 수립 경험과 두산그룹에서의 신사업 전략 수립은 이론보다는 실질적인 결과 도출을 중시하는 실용주의적 가치관을 가졌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성장 중심의 경제관: 이재명 대통령의 '성장에 집중할 때'라는 철학을 구현할 인재로 발탁된 점을 미루어 볼 때, 경제 발전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에 대한 확고한 성장 중심의 경제관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 미래 지향적 사고: 재생에너지와 SMR 등 미래 신사업 분야를 주도할 인재로 평가받는 것은 그가 변화와 혁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미래 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는 진취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가치관들은 그가 향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서 대한민국의 산업 구조 개편과 에너지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데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그가 수행해야 할 산업통상자원부의 과제의 무게 또한 가볍지 않아 보입니다. 통상부문의 분리, 에너지 분야의 분리, 산업부 기존 멤버들과의 조화 등, 그의 앞길은 순탄하지만은 않은 것도 사실이기 때문입니다.